국민의힘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전당대회를 열어 최종 대선 후보를 선출한다. 국민의힘은 지난 1∼2일 당원 선거인단 투표(50%)와 국민여론조사(50%)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김문수·한동훈 경선 후보 중 최다 득표자를 최종 후보로 선출하게 된다. 전당대회에서는 대통령 후보자 지명 안건을 상정하고, 투표 결과 및 여론조사 결과를 수령해 황우여 선거관리위원장이 개표를 선언하게 된다. 개표결과 발표는 오후 3시 46분께부터 이뤄질 예정이다. 결과 발표 후 대통령 후보자가 지명되면 당선자는 수락 연설을 한다. 낙선자의 승복 연설 후에는 두 후보자 간 화합 이벤트도 마련됐다. 행사가 종료된 후에는 대선 후보 선출자를 상대로 기자간담회가 진행된다. 두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소추에 대해 극명한 입장차를 보인 만큼 당원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에 관심이 모인다. 김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 시절 비상계엄 직후 열린 국회 긴급현안 질의에서 국무위원 중 유일하게 야당 의원의 사과 요구에 응았다. 국회의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 국면에서도 여러 차례 '탄핵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한 후보는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대표로서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을 주도했다. 이후 탄핵소추 과정에서도 찬성 입장을 밝힌 바 있다. 4강에 진출했던 '찬탄파'인 안철수 의원의 지지층과 '반탄파'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지지층이 어디로 움직일지도 최종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두 후보가 전날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를 두고 온도 차를 보이면서 어느 후보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향후 단일화 과정에도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 지도부는 선거공보물 발주 일정 등을 감안해 대선후보 등록일(10∼11일) 전까지 후보 단일화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방침이지만, 두 후보 모두 단일화 가능성은 열어뒀으나 적극성에는 차이가 있다. 김 후보는 경선 주자 중 가장 먼저 한 전 총리와 단일화하겠다고 공언했다. 김 후보는 2002년 대선 당시 여론조사를 통한 경선으로 단일화를 한덕수 "저는 이길 수 있는 경제 대통령…좌우가 아니라 앞으로 나갈 것" 이재명, 유죄 취지 파기환송에도 경청 행보 계속…강원 '동해안 벨트' 방문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최근 SK텔레콤(017670) 서버 해킹 피해로 유출된 정보 중 가입자 전화번호가 있었단 게 확인되면서, 고객군을 겨냥한 '스미싱'(문자 기반 피싱) 범죄가 우려된다. 특히 유심 교체가 시급한 이들의 심리를 파고든 사칭 서비스 등 내용이 예상된다. 공격자는 이를 통해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을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상한 URL을 클릭하거나 개인정보 등을 입력해선 안 된다. 3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기관 내 국민피해대응단은 이런 후속 범죄를 우려, 상시 모니터링 대응체계를 운영 중이다. KISA 관계자는 "일전에도 재난 등 국민적 이슈가 있으면 후원 모금 등을 사칭하는 스미싱 시도가 있었다"며 "이번 경우는 불특정 다수 국민이 아닌 SKT 고객이라는 집단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교하고 집중적인 스미싱 공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이번 사태를 악용한 피싱 공격이 기획됐다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지난달 27일 KISA 긴급 보안 공지에 따르면 '유심 무상 교체', '유심 보호 서비스' 등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 입력할 시 도박 사이트로의 연결을 유도하는 악성 웹페이지가 나온다. 이 관계자는 "아직 스미싱 유형이 접수되진 않았지만, 공격자가 파고들기 좋은 이벤트로 생각된다. 유심 교체 대기열이 긴 만큼 유심 교체 서비스로 위장된 스미싱이 가능할 것"이라며 "KISA 국민피해대응단 내 스미싱대응팀은 24시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사용자 차원에서 피해를 예방하려면 출처가 불분명한 URL 클릭을 자제하고 바로 삭제해야 한다. 의심 사이트는 정상 사이트와의 일치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한다. 전화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는 신뢰 가능한 사이트에만 입력하고, 인증 번호의 경우 모바일 결제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한 번 더 확인해야 한다. SKT 관계자는 "현 상황을 악용한 불법스팸, 스미싱 등 피해 예방을 위해 KISA 신고건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한편 스팸·스 "'최악의 혼란은 막자" SKT 직원들, '일일 알바'로 자발적 현장지원 "SKT 유심 대기줄 길다던데"…출국 전 교체 가능할까
트럼프 "관세발 불경기 우려 안 해…결국 최고의 경제 가질 것" 0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FILE PHOTO: U.S. President Donald Trump speaks during a cabinet meeting at the White House in Washington, D.C., U.S., April 30, 2025. REUTERS/Evelyn Hockstein/File Photo PRU20250502261101009_P4.jpg Y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정책이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크게 도움 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NBC뉴스가 공개한 인터뷰 발췌본에서 '경기가 단기에 불황에 빠져도 장기적으로는 괜찮냐'는 질문에 "모든 게 괜찮다"면서 "지금은 전환기다. 우리가 엄청나게 잘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불경기를 우려하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다. 불경기가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무엇이든 일어날 수 있지만 우리가 우리나라 역사상 최고의 경제를 갖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월가의 금융업계가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경기를 우려한다는 지적에는 "월가의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역사상 최고의 경제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왜 그런 사람들은 이야기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하고 전례 없는 수준의 관세로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미국 경제가 관세 불확실성 영향으로 지난 1분기 역성장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필요하며 약간의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美트럼프 행정부, 우크라에 F-16 전투기 운용 부품 등 판매 승인 안보보좌관 아웃에 예측불가능성 더 커진 트럼프 외교정책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강릉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A 씨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매출 급감과 물가 상승을 버티지 못하고 결국 '카드론'에 손을 뻗었다. 카드론은 신용카드사가 고객에게 직접 자금을 빌려주는 대출 상품으로, 경기 불황기에 수요가 급증해 '서민경제의 바로미터'로 불리는 고금리 대출이다. 그러나 카드론만으로는 감당이 어려워지자 A 씨는 결국 '현금서비스'까지 이용하게 됐다. 현금서비스는 카드론보다 대출 심사가 느슨하고, 즉시 현금 인출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이자율이 평균 18%로 카드론보다도 높고, 대출 기간도 1개월 이내로 짧아 급한 생활비나 연체를 막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불린다. 결국 A 씨는 대출 금액은 1300만원을 넘어섰다. 대출을 갚기 위해 또 다른 현금서비스를 받는 악순환의 굴레에 빠져 '한계'에 다다랐을 무렵,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찾게 됐다. 카드 연체율 10년 내 최고…'채무조정' 신청도 고공행진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기 악화로 서민들의 자금 사정이 악화하면서, 올해 1분기 카드사 연체율이 약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실적을 발표한 금융지주 계열 카드사들의 연체율은 △신한카드 1.61% △KB국민카드 1.61% △하나카드 2.15% △우리카드 1.87%로 집계됐다. 하나카드는 2014년 출범 이후 최고치, KB국민카드는 2014년 말 이후 최고치다. 신한카드는 2015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체를 감당하지 못하고 정부에 도움을 요청하는 이들도 빠르게 늘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회복위원회에 접수된 채무조정 신청 건수는 19만5432건으로, 지난 2022년(13만8344건) 대비 41.27%(5만7088건) 급증했다. 특히 연체 30일 이상~90일 미만인 단기연체자를 대상으로 한 '신속채무조정' 증가세가 눈에 띄게 가팔랐다. 지난해 말 기준 신속채무조정 신청건수는 5만 527건으로, 지난 2022년 2만1996건 대비 129.71%(2만8531건) 증가했